노후 적정 생활비는 얼마일까?
많은 사람들이 노후에는 편안하고 행복한 생활을 하고싶어합니다. 그래서 저축이나 투자를 많이 하고 있지만 편안한 노후를 보내기 위해서는 얼마 정도의 생활비가 들어가는지에 대해서 가늠을 잘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준비한 이번 포스팅은 '노후 적정 생활비는 얼마일까?' 입니다.
목차
1. 50대가 생각하는 노후 적정 생활비
2. 최소 노후 생활비
3. 노후의 시작
50대가 생각하는 노후 적정 생활비
국민연금연구원에서 조사한 '2020년 중고령자의 경제생활 및 노후 준비 실태'에 따르면 노후 적정 생활비로 부부는 월 267만원, 개인은 월 164만원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또한 서울 거주자는 적정 생활비를 부부 330만원, 개인 205만원으로 다른 지방에 비해서 노후에 더 많은 돈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국민연금을 20년 이상 부부가 저축해도 노후에 받을 수 있는 금액은 매달 약 196만원(1인 98만원) 정도입니다. 이 금액은 노후 적정 금액인 267만원에 비해서는 많이 모자란 금액입니다.
정부는 예상 은퇴 연령은 68.2세로 보고있지만, 실제 은퇴하는 나이는 62.9세로 은퇴하지 않은 가구의 노후 준비는 54.2%가 잘 되어있지 않거나 모자란 상태로 나타났습니다.
적정 생활비 계산 : 267만원 x 12개월 x 25년 = 8억 100만원
최소 노후 생활비
국민연금연구원에 따르면 의식주등 생활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비용인 최소 노후 생활비는 부부 198만 7000원, 개인 124만 3000원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최소 생활비 계산 : 198만원 x 12개월 x 25년 = 5억 9,400만원
노후의 시작
노후는 어느 사건을 경험할 때 부터 시작되느냐에 대한 물음에는 62%가 '기력이 떨어지는 시기'라고 답하였습니다. 이후 근로활동 중단 (21.2%), 공적 연금 지금 시기 (9.2%), 회갑 이후(3.6%) 등 순서입니다.
노후를 준비하는 사람들은 기본적인 생활자금을 국민연금으로, 표준적인 생활자금은 퇴직연금으로, 여유 있는 생활은 개인연금으로 노후를 대비합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 노마스크 총정리 (0) | 2023.01.30 |
---|---|
중국 코로나 신종변이 발생, 증상과 발생현황 총정리 (0) | 2023.01.04 |
정부의 3대 개혁 총정리 (0) | 2023.01.01 |
2023년 무슨 띠, 삼재띠, 띠별 운세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12.04 |
임영웅 지니뮤직어워드 3관왕 달성, 임영웅 3관왕 (0) | 2022.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