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꿀팁

결혼식 축의금 액수와 기준 금액 총정리(깔끔하게 봉투 쓰는 법)

by 부릉:D 2022. 12. 5.
300x250

결혼식 축의금 액수 금액 총정리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챙겨야 하는 경조사가 많습니다. 특히 결혼식이 많은데 축의금을 내는게 정말 쉽지 않습니다. 어떤 사람한테는 5만원을 주고 다른 사람한테는 10만원을 주면 나중에 뒤에서 말이 나올수 있습니다. 그러면 정말 곤란하죠. 그래서 준비한 이번 포스팅은 '결혼식 축의금 액수와 기준 금액 총정리(깔끔하게 봉투 쓰는 법)'입니다.

 


목차

1. 축의금 액수 추천

2. 축의금 봉투 쓰는 법

3. 축의금 내는 곳


 

축의금 액수 추천

축의금은 얼마가 적당할까요? 축의금 액수는 친밀도에 따라서 크게 4가지 기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최소한의 예의 3만원

3만원은 얼굴만 아는 사이, 몇년동안 연락한 적 없는 지인 정도가 여기에 속하겠습니다. 혹은 결혼식을 못가지만 형식상 축하해주거나 학생신분, 취준생도 3만원을 내는게 적당합니다. 

 

2. 애매하다 싶으면 5만원

요즘 웨딩홀의 식비는 약 4~5만원 정도 합니다. 그래서 직장 동료나 어느정도 가까운 친분, 가끔 연락하는 사이정도면 5만원이 적당합니다. 

또한 몇년동안 연락이 없는 지인중 청첩장을 주기 위해 직접 만나러 온 지인5만원 정도가 적당합니다.

그리고 별로 친분이 없지만 친해지고 싶거나, 계속해서 만나고 싶은 사람한테도 5만원이 좋은 선택입니다.

 

3. 친하다 싶으면 10만원

자주 만나는 친구, 본인이 친하다고 생각하는 지인에게는 축의금이 10만원이 좋습니다.

10만원을 축의금으로 주면 받는 입장에서도 꽤나 친밀한 관계로 생각하게 됨으로 친밀감을 어필할 좋은 기회라고 생각이 듭니다.

 

4. 부모님이 알면 20만원

정말 친한 친구, 부모님이 아는 친구라면 20만원을 준비하는게 좋습니다. 여기서 핵심은 부모님이 아는 '지인'이 아니라 부모님이 아는 '친구'입니다. 부모님이 아는 '지인'일 경우에는 5~10만원이 적당하지만 부모님이 아는 '친구'는 20만원이 좋습니다. 

사실 정말 친한 친구면 굳이 20만원이라고 정하지 않고 주고싶은 만큼 상황이 되는 만큼 주는것도 좋습니다.

20만원을 해야할 거 같은 친구한테 상황이 안되서 20만원을 못해줄 경우에는 축의금 봉투에 넣는 것 보다 직접 만나서 상황을 설명하면서 현금으로 주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로 결혼식 전에 현금을 써야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정말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축의금 봉투 쓰는 법

축의금 봉투는 소속을 적을때는 봉투 가운데선 기준으로 왼쪽 하단에는 이름, 오른쪽 상단에는 소속을 작성해야 합니다.

친한 사이인데 소속을 써야할까? 라고 고민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소속은 표시하는게 좋습니다.

문구를 넣을까 고민하시는 분들도 계신데 이럴때에는 흰 봉투 말고 다른 예쁜 디자인의 봉투를 준비해서 주는게 낫습니다. 

아니면 흰 봉투에 짧게 한마디 쓰는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축의금 내는 곳

축의금을 내기 위해서 봉투를 따로 구매할 필요는 없습니다. 결혼식장에 축의금 봉투가 구비되어 있으니 사용하시면 됩니다. 

축의금 내는 곳은 신랑측과 신부측 한테이블씩 나누어져 있습니다. 본인이 축하해줄 지인이나 친구쪽 테이블에 축의금을 드리면 됩니다.

 

728x90

댓글